본문 바로가기
일상의 음주/와인

Poliziano, Lohsa Morellion di Scansano 2018 / 폴리지아노 로사 모렐리노 디 스칸사노 2018

by 개인 척한 고냥이 2020. 7. 13.

소화 잘 되는 고기, 그중에서도 1+ 한우 고기. 요즘 한우값이 많이 올랐다. 한 2-30% 정도는 오른 듯. 특수부위 같은 건 100g 당 15000원-_- 그래서 비교적 저렴한 채끝을 사 왔음.

 

 

쇠고기는 바로 구워 먹는 게 제맛. 아이들 때문에 조금 많이 익혀서 먹었지만, 이런 고기는 사실 태우지만 않으면 어떻게 구워도 맛이 있다 ㅎㅎㅎㅎ

 

 

술이 빠질 수는 없는 노릇. 개인적으로 소고기 페어링 시 가장 선호하는 품종은 산지오베제(Sangiovese)인데, 랙에 딱 한 병이 꽂혀 있었다. 

 

 

 

 

폴리지아노 로사 모렐리노 디 스칸사노(Poliziano Lohsa, Morellino di Scansano).

 

 

폴리지아노는 원래 수준급 비노 노빌레(Vino Nobile di montepulciano) 생산자로 유명하다. 일례로 작황이 좋은 해에만 만드는 그들의 상급 비노 노빌레 와인인 아시노네(Asinone)는 각종 와인 매체로부터 꾸준히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와이너리는 1961년 현재 소유주의 아버지인 디노 카를레티(Dino Carletti)가 몬테풀치아노에 22ha의 포도밭을 구매하면서 시작됐다. 이후 피렌체에서 농업을 공부한 아들 페데리코(Federico)가 1980년대부터 합류했다. 페데리코는 대학 동료로 인연을 맺은 와인 컨설턴트 카를로 페리니(Carlo Ferrini)와 마우리지오 카스텔리(Maurizio Castelli)의 조언을 받아 90년대까지 대목과 클론 연구를 통해 몬테풀치아노의 떼루아를 잘 반영하는 프루뇰로 젠틸레(Prugnolo Gentile, 산지오베제의 현지 이름)를 대대적으로 식재한다. 또한 와이너리도 현대적으로 리뉴얼하여 좋은 와인을 생산할 수 있는 기반을 갖추었다. 몬테풀치아노 외에 코르토나(Cortona)와 마렘마(Maremma) 부근에 총 170ha의 포도밭을 보유하고 있으며, 3세대인 페데리코의 자녀 프란체스코(Francesco)와 마리아 스텔라(Maria Stella)도 운영에 참여하고 있다.

 

와이너리 이름인 폴리지아노는 페데리코가 사랑한 이탈리아의 시인 안젤로 암브로지니(Angelo Ambrogini)의 필명(Il Poliziano)에서 따왔다. 그들의 슈퍼 투스칸 스타일 와인인 레 스탄제(Le Stanze) 또한 폴리지아노의 작품에서 유래했다고.

 

 

코르크에 가문 이름인 '카를레티'가 선명하다.

 

이 와인은 마렘마 지역의 와이너리인 로사(Lohsa)에서 생산한 모렐리노 디 스칸사노 DOCG. 이회토(marl)와 사암(sandstone)이 섞인 해발 100m의 남(동)향 경사진 포도밭에서 재배한 모렐리노(Morellino, 산지오베제의 현지 이름) 85%와 칠리에졸로 15%를 블렌딩한다. 손 수확한 포도는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15-20일 정도 침용 및 발효하며, 이후 일부는 나무통에서 나머지는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숙성한다. 숙성기간은 정확히 명기되어 있지 않은데, 일반 모렐리노 디 스칸사노는 수확 다음 회 3월 1일까지만 숙성하면 된다(숙성용기 규정 없음). 리제르바(Riserva)급의 경우 최소 2년 숙성하며 그중 1년은 반드시 나무통에 숙성해야 한다.

 

산지오베제와 블렌딩한 칠리에졸로(Ciliegiolo) 품종은 그 이름이 체리에서 유래되었을 정도로 컬러와 풍미 모두 체리와 유사점이 있다고 한다. 토스카나와 리구리아 등 이태리 중부에서 주로 재배하며 2000년 이후 그 재배량이 증가하는 추세다. 보통 키안티(Chianti) 등의 와인에 신선함을 더하는 블렌딩용으로 사용한다. 단독으로는 보통 가벼운 와인을 만들지만, 토스카나 등에서는 구조감 있는 중장기 숙성용 와인용으로도 사용한다.

 

 

Poliziano, Lohsa Morellion di Scansano 2018 / 폴리지아노 로사 모렐리노 디 스칸사노 2018

 

따를 때는 검보랏빛이 느껴지는 듯싶더니 다 따르고 나니 진하지 않은 체리 루비 컬러에 오렌지 림이 비친다. 코를 대면 마르지 않은 나뭇가지를 꺾었을 때의 풋풋한 내음과 정향 등 밝은 허브 향기가 가장 먼저 드러난다. 뒤이어 가벼운 체리와 라즈베리, 블루베리 아로마 등 완숙의 경계를 넘나드는 신선한 베리 풍미. 신맛이 잘 살아있으며 많지는 않지만 투박한 타닌이 제법 까끌하게 느껴진다. 미디엄 바디에 날렵한 구조감, 조금 어린 느낌.

 

전반적으로 기대했던 산지오베제 특유의 붉은 베리 풍미보다 허베이셔스한 느낌이 강한 점은 살짝 아쉬웠지만 대신 경쾌한 인상이 나쁘지는 않았다. 장기 숙성형은 아닐 지라도 1~2년 정도 보관 후에 마시는 게 더 즐거울 것 같다. 반 병 남은 것은 큰 잔에 브리딩하며 마셔야지.

 

 

채끝 한 근을 홀랑 해치우고 돼지 갈매기살 추가.

 

 

이번 와인에는 소고기보다 외려 이 녀석이 더 잘 맞는 것 같기도 하다. 

 

 

디저트로 말랑 복숭아♥ 또 이렇게 하루가 지나간다.

 

 

개인 척한 고냥이의 [알코올 저장고]

 

 

반응형